우리나라는 현재 과잉생산 중

베스트

최근글


새댓글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홈 > 베스트 > 베스트
베스트

우리나라는 현재 과잉생산 중

자유로운삶 8 1059 0

농업쪽 한정이긴 합니다만

우리나라 축산업이든 농업이든 우리나라 사람들이 소비하는 것에 비해 

엄청 많이 생산하고 있습니다. 

주변에 농사 짓는 분 있으면 

가끔 말도 안되게 짓고 남은거라면서 주시는데 양이 어마어마하죠

 

우리가 소비자 기준이라서 그런지는 몰라도 

많이 생산되면 가격이 낮아져야 하는거 아니냐? 생각하실수 있는데

농가나 유통업자 입장에서는 그게 아닙니다. 

많이 생산되면 그만큼 정가로 받아서 이윤을 남기고

적게 생산되면 가격을 높여서 이윤을 남긴다고 생각해요

싸게 판다는 논리는 그들에게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건 이미 아프리카 돼지열병 유행일때 증명 됐어요

중간 상인들 냉동창고에 한가득 채워놓고 용팔이들 처럼 슬금슬금 물건 풀면서 가격 높이는 전략으로 심지어 농협도 이런식이었죠

 

그렇기 때문에 소비자가는 절대 내려가지 않습니다. 

그나마 대기업이 후려쳐줘야 우리가 조금 싸게 먹는거죠

그 대기업은 유통업자를 후려치...

(실제로 롯데가 그러한 전력이 있습니다 2580같은 곳에 나왔던걸로...)

 

특히나 유통구조의 문제는 뜯어고치기가 어렵죠

파이프라인이 하루아침에 바뀌어야 하는데 말이 쉽지...

게다가 이분들 얼마 안남는다고 죽는소리하는데...

이게 본인들 쓸거 다 쓰고 남은 돈이 얼마 안된다 이러는 겁니다. 

많이 남겨봤자 다 세금 떼이니까요 

많이 벌고 많이 쓴 뒤에 얼마 안남는다고 하는겁니다. 

 

나만 합리적인척 하지만 뛰는 놈 위에 나는 놈있다고 

더 합리적으로 행동하는 분들 많습니다. 

그치만 그 합리성이 모두에게 긍정적으로 부합하는가? 하면

그건 또 아닌거 같습니다. 

 

 

8 Comments
비단 2023.05.12 00:34  
식량 자급률이 50%도 안될텐데요. ㅡㅡ;;;   유이하게 쌀이 100%이고 우유만 초과 생산 아닌지...
자꾸하면습관된다 2023.05.12 00:39  
그 자급률이라는거...  우리가 빵을 먹지만 밀은 해외에서 수입하지요?  그래서 그런겁니다. 
스텀 2023.05.12 00:37  
남은 거 -> 상품성이 낮은 거 (못 파는 거)
자꾸하면습관된다 2023.05.12 00:40  
뭐 그렇긴 한데 그분들이 아주 폐급을 주시진 않아서 ㅎ...
뻬삐 2023.05.12 00:38  
중간에 도둑놈들이 많죠. 유통, 건설.. 
자꾸하면습관된다 2023.05.12 00:42  
법 태두리 안에서 행해지는걸 어케 막을수가 없고 대부분의 인간이라면 다들 그렇게 할거 같습니다.  얄밉지만 어쩔 수 없죠 그렇다고 국회의원들이 자기 표 갉아가면서 유통 법을 만들리 만무하구요
(A_A)b 2023.05.12 00:44  
농산물은 싸게 판다고 많이 팔수있는 제품이 아니니까   싸게 안파는게 아닐까요?  감자가 2배 생산되서    가격을 많이 낮춘들 사람들이 감자를 2배로 사지는    않을테니.. 가격은 약간만 낮추고 나머지는 폐기되겠죠.   그게 이득일테니까요.  
뚜뚜르~ 2023.05.12 01:00  
시장 논리는 그렇지 않습니다. 뭔가 개인이 보는 시야로만 보시는 듯 하네요. 그리고 정가라는건 어디서... ^^   농산물은 경매입니다. 이후 유통구조이고요. 많이 생산 되면 그만큼 경매가는 낮아 지게 됩니다. 즉 농민이 정가로 어디에 넘기는게 아닙니다. 무엇 보다 농사가 잘 되어~ 생산량이 너무 많아 지면 경매가 폭락 하고, 이러면 농민들 초토화 되기에 이런 경우 각 시에서 일정 가격에 사들여서 밭 전체 업어 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농민 보호).   뭐 식물에 대한 지식이 없는 사람은 가격만 보겠지만, 조금만 알아도 해당 농산물 가격 변동 보면 왜 그런지 짐작 할 수 있습니다. 예로 쌍추는 여름에 가격이 오르고(=잎이 녹아 내림), 고추는 일조량에 영향 받고, 비타민이 풍부한 야채등은 벌레(=엄청 좋아함)들 때문에 피해 받는 등.. 기후에 따라 생산량 차이 나는 법 이건 경매 가격이 달라지죠. 그러니 농민 하소연 그냥 하는 소리 아니랍니다. ^^   (농업에서 돈을 벌려면.. 이게 돈이 될까 해서 몇년 연구는 아니지만 조금 공부해 본적 있습니다.) 농사 이게 참 나 잘되면 다른 사람들도 잘됨. 나 안되면 다른 이들도 안됨.. 이게 큰 쪽이 농사랍니다(지역차 제외). 그렇기에 여기서 돈을 벌려면 남 안되는데 난 잘되는.. 그런 농사를 해야 돈이 되죠. 그러나 이런 방법으로 농사하시는 분들은 그렇게 없겠죠(=다들 나이가 있는 분들이나 자부심이 있고, 투자 여력 힘듦). 그리고 기후 변화로 농민들 하소연 할 만 하죠.(일조량 적어져, 강풍 많아져, 해충 많아져, 농약 사용 힘듦, 비료 가격 오름, 그러나 운 좋게 생산량이 많아 졌다 해도 돈 벌지 못함.. 반대로 생산량 작아지면 적자 안보는게 다행이라 봐야 되고.. 이게 현실입니다.)   말이 길었는데.. 전 유통쪽 문제라면 이해가 가겠지만, 농민이 그렇다는건 아니라 보여집니다.
베스트

최근글


새댓글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